옛날에 두 대의 소시지 기계가 있었다. 한 대는 열심히 돼지고기를 받아들여 소시지를 만들었지만 다른 한 대는 '돼지가 나한테 무슨 소용이람' 하는 생각으로 돼지에 대한 관심을 끊고 자기 내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를 하면 할수록 내부는 더 공허하고 어리석어 보였다. 결국 이 기계는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짐작조차 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 버트란트 러셀 '행복의 정복'에서- 석달 전, 산티아고 가는 길을 걸을 때 나 자신이 텅빈 내부만 들여다보는 소시지 기계처럼 느껴지던 날들이 있었다. 걸으면서 본 것이 오직 나 자신 뿐이었던 날들. 내 자책, 내 후회, 내 불안...그러려고 길을 떠난 것이 아니었는데도. 낯선 풍경과 사람들, 세상의 무수한 사건들은 내가 관심을 기울일 때에만 내 경험이 된다..
위대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만약 과학의 역사를 한 줄로 줄여서 표현한다면 "모든 것이 원자로 되어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당신의 몸 속에 있는 원자들은 모두 몸 속에 들어가기 전에 이미 몇 개의 별을 거쳐서 왔을 것이고, 수백만에 이르는 생물들의 일부였을 것이 거의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로 엄청난 수의 원자들로 구성돼 있을 뿐 아니라, 우리가 죽고 나면 그 원소들은 모두 재활용된다. ...그러니까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우리는 모두 윤회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가 죽고나면 우리 몸 속에 있던 원자들은 모두 흩어져서 다른 곳에서 새로운 목적으로 사용된다. 나뭇잎의 일부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의 몸이 될 수도 있으며, 이슬방울이 될 수도 있다. 원자들은 실질적으로 영원히 존재한다..
"나는 내가 지금 마음에 들지 않지만, 내가 어떤 인간인지는 알아. 내 자식들은 자기자신을 좋아하지만, 자기가 어떤 인간인지는 몰라. 너 같으면 어떤 쪽이 더 나쁜 것 같니?" - 조너선 사프란 포어의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에서- 글쎄... 어느 쪽이 더 나쁠까요? 어젯밤, 활자로 아픈 눈을 식히려고 다른 책을 집어들었습니다. (..이것도 중독입니다요....-.-;) 몇달 전에 읽었던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에서 내가 한번은 접어두었음직한 자국을 따라 듬성듬성 책을 펼쳐보다 멈춘 대목입니다. 9.11 테러로 죽은 아빠를 '더 이상 상상하지 않기 위해' 소년 오스카는 아빠에게 배달되어온 봉투에 써있던 '블랙'의 정체를 찾아나섭니다. 블랙이 사람의 이름일거라고 단정한 오..
가능한 한 앉아 있지 말라. 야외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생겨나지 않은 생각은 무엇이든 믿지 말라. 근육이 춤을 추듯 움직이는 생각이 아닌 것도 믿지 말라. 모든 편견은 내장에서 나온다. 꾹 눌러앉아 있는 사람의 끈기. 이것에 대해 나는 이미 한번 말했었다. 신성한 정신에 위배되는 진정한 죄라고. - F. 니체 '이 사람을 보라' 에서 - 매일 죄인이군요.... 죄를 자각하는 순간마다 벌떡 일어나 미친 듯 12층 높이의 건물을 단숨에 걸어 올라가거나, 아니면 한 30분 마구 쏘다닙니다. 한동안 만끽했던 자유의 공기를 그리워하면서 말이죠. 헉헉 대며 다시 죄인의 자리로 돌아올 때면 눈물이 핑 돌 지경입니다......그런데 어제 오늘은 그 미친 속죄도 하기 힘들더군요. 너무 더워요.....ㅠ.ㅠ
전 경영학에 문외한이지만, 경영학자들 3명의 신간 출간 소식이 들리면 어쨌든 책을 사고 봅니다. 피터 드러커, 찰스 핸디, 톰 피터스가 그들이죠. 제게 피터 드러커는 그 어깨 위에 올라서서 지평 너머를 바라보고 싶은 거인과도 같고, 톰 피터스는 그 열정에 한번 전염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선동가 같다면, 찰스 핸디는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편안한 선생님의 느낌입니다. 셋 중 가장 닮고 싶은 사람이기도 하죠. 스스로 '늦되는 사람'이라고 표현하고 제가 보기에도 '늦된 사람'이지만 ^^, 피터 드러커 처럼 비범한 면모를 갖추지 못한 평범한 사람이 어떻게 자신의 길을 개척하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경영의 구루라기 보다 현실을 잘 설명하려 애쓰는 사회철학자 라는 호칭이 더 적절할 것같은 사람이..
“‘동사서독’의 구양봉은 떠돌아다녀도 유목민이 아닙니다. 상처에 매여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없는 사람, 상처로 인해 마음의 문을 닫고 있는 사람은 아무리 떠돌아다녀도 유목민이 아닙니다. 유목민과, 다 쓴 땅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이주민을 혼동해선 곤란합니다. 오히려 유목민은 사막이나 초원처럼 불모의 땅이 된 곳에 달라붙어 거기서 살아가는 법을 창안하는 사람들입니다. 유목민은 떠나는 자가 아니라 그 자리에서 새로운 것을 창안하고 창조하는 자입니다.” 인터넷서점 예스24의 채널예스에 실린 이진경 씨 인터뷰 를 읽다가 위의 대목에서 흠칫하다. 마시면 과거를 모두 잊는다는 술 ‘취생몽사’도 구양봉에겐 농담에 지나지 않았다. 잊으려 할수록 더욱 생각날 뿐…. 과거에 붙들린 정주민의 정신인 채 다만 정착..
- Total
- Today
- Yesterday
- 김진숙
- 산티아고
- 글쓰기 생각쓰기
- 페루
- 차별
- 스티브 잡스
- 인류학
- 알라딘 TTB
- 제주올레
- 김인배
- 조지프 캠벨
- SNS
- 블로그
- 중년
- 인생전환
- 인터넷 안식일
- 몽테뉴
- 영화
- 서경식
- 엘 시스테마
- 여행
- 세이브더칠드런
- 책
- 1인분
- 단식
- 사랑
- 다문화
- 터닝포인트
- 중년의터닝포인트
- 김현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